develop/Database

    [MySQL] 함수

    [함수] 주어진 입력 값을 가지고 정의되어있는 논리대로 계산되어 하나의 값으로 변환되는 것이다. - 스칼라 함수 (Scalar Function) : 단 한 개의 숫자에 대해서 행하는 연산작업 >> 데이터 중 단 한 개의 행에 대해서 적용되는 것을 의미함. - 집합 함수 (Aggregate Function) : 좀 더 큰 데이터 집합에 대해 실행되는 함수 [스칼라 함수 - 문자함수] 사용자가 문자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함. 1. LEFT(문자열 값, 문자열의 시작부터 갖고올 값의 개수) 2. RIGHT(문자열 값, 문자열의 끝부터 갖고올 값의 개수) 3. SUBSTR(문자열, 시작번호, 문자 개수) 4. LTRIM(문자열) : 문자 표현의 왼쪽에 있는 빈칸을 없앤다. (단어 사이의 빈칸은 없애지 않는다...

    [SQL] 기본 알기

    검색하기 - SELECT _____ FROM table; * : 모든 열을 의미함. [WHERE] 선택 논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 : 수학 연산자, Boolean 연산자 사용 가능 [GROUP BY] 데이터 요약하는데 사용 (데이터를 다양한 그룹으로 정리하여 각 그룹의 데이터를 다양한 통계로 요약할 수 있다.) [HAVING] 데이터 그룹 전체의 선택 논리 명시 [ORDER BY] 데이터를 오름차순/내림차순으로 정렬 [문법] - 열/테이블 별칭 붙이기 SELECT Qty AS 'Quantity Purchased' FROM table; SELECT lastname FROM Sales123 AS Sales; 열의 별칭을 붙일 때는 작은 따옴표를 붙여야하지만 테이블의 별칭을 붙일 때는 하지 않아도 된다.

    [SQL]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SQL 개요

    [SQL] SQL (Structured Query Language) 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유지하고 활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 * SQL언어의 중요한 요소 1. 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, 데이터 조작 언어) :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부르거나 업데이트, 추가, 삭제할 수 있게 한다. 2. DDL (Data Definition Language, 데이터 정의 언어) :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생성/수정할 수 있게 한다. 3. DCL (Data Control Language, 데이터 통제 언어) :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적절하게 유지한다. * SQL 언어의 특징 - 선언적 (declarative) 언어이다. : 원하는 목적을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한다. * 절차형..